포항 내연산(문수봉,삼지봉,향로봉)과 보경 12폭포 산행일기(2019.08.03).
산행 일시 : 2019년 08. 03(토)일.
함께한 이 : 나홀로 현지답사 종주산행.
산행 정보 : 내연산 3봉과 보경계곡 12폭포 총 22km 쉬엄 쉬엄 10시간 산행.
산행 준비 : 여름산행 준비물인 행동식(김밥 2줄, 햇반 1개, 오이 2개, 복숭아 2개, 냉동떡 2개)과
이온음료 1.8리터, 생수 2리터大 2병, 커피 500ml 1병. 판초우의, 여벌옷 1셑트 外.
교통 정보 : 대중교통 이용(수원→포항 심야우등 33,200원. 포항→보경사 택시 30,000원).
산행 코스 :
00 : 10 - 수원 버스터미널 심야 우등버스.
04 : 30 - 포항 버스터미널 도착.
05 : 10 - 도보로 포항시청으로 이동.
05 : 40 - 포항시청 인근 편의점에서 컵라면과 김밥으로 조식.
06 : 00 - 포항시청 도서관 뒤편 '대잠일월지' 옆 "12억짜리 소나무" 감상.
07 : 00 - 포항 버스터미널까지 도보 이동.
07 : 50 - 내연산 보경사 입구 주차장까지 택시(30,000원)로 이동.
08 : 00 - 편의점에서 생수등 보충후 산행 시작.
08 : 10 - 보경사 일주문 매표소.
08 : 15 - 적광전 대웅전 소나무등 스캔후 범종각 옆길로 통과.
08 : 20 - 마을로 내려가는 수로를따라 사방댐 수원지.
08 : 30 - 문수봉(문수암) 갈림길 협암.
08 : 40 - 상생폭포 조망 전망대.
08 : 55 - 문수암.
09 : 30 - 깔딱고개 쉼터(20분 휴식).
10 : 05 - (문수봉 0.17km 지점) 갈림길 이정목.
10 : 15 - 내연산 문수봉(628m) 정상.
10 : 20 - 능선길 합류 삼거리.
10 : 25 - 수리더미 갈림길.
10 : 30 - 첫번째 은폭포 갈림길.
10 : 45 - 두번째 은폭포 갈림길.
10 : 55 - 동대산 갈림길(삼지봉 0.4km지점, 25분 휴식).
11 : 30 - 내연산 삼지봉(711m) 정상.
12 : 35 - 밤나무등코스 시명리 갈림길 쉼터(향로봉 1.5km지점 이정목).
후1: 05 - 하옥리 향로교 갈림길(향로봉 0.7km지점 이정목).
1 : 25 - 내연산 향로봉(930m) 정상(5분 휴식).
1 : 35 - 매봉 갈림길 이정목.
2 : 30 - 급경사길 끝지점 첫번째 시명리 작은계곡(15분 휴식).
2 : 50 - 경북 수목원 갈림길(보경사 6.2km) 이정목.
3 : 00 - 시명폭포 안내판.
3 : 15 - 실폭포 데크 갈림길.
3 : 20 - 실폭포.
3 : 35 - 복호 2폭포.
3 : 45 - 복호 1폭포.
4 : 00 - 낙석위험 너덜지대.
4 : 20 - 음지골 쉼터 정자.
4 : 25 - 제2 구름다리.
4 : 40 - 은폭포.
4 : 50 - 소금강전망대 갈림길.
4 : 55 - 우척봉 갈림길.
5 : 00 - 관음폭포.
5 : 05 - 제1 구름다리(적교).
5 : 07 - 연산폭포(학소대).
5 : 10 - 무풍폭포.
5 : 20 - 보현암 갈림길(보현암감로수).
5 : 30 - 보현폭포.
5 : 35 - 상생폭포(10분간 휴식).
5 : 45 - 문수암 갈림길(협암).
5 : 55 - 보경사 일주문(매표소).
6 : 00 - 봉선식당(저녁 & 숙박). (산행종료 총 22km 약 10시간 소요).
▼ 보경사 해탈문과 내연산 3봉 정상석.
▼ 내연산 12폭포 사진. (3.삼보폭포, 4.잠룡폭포, 12.시명폭포 사진은 포항시청 홈페이지에서 인용 함)
1. 상생폭포. | 2. 보현폭포. | 3. 삼보폭포. | 4. 잠룡폭포. |
5. 무풍폭포. | 6. 관음폭포. | 7.연산폭포. | 8. 은폭포. |
9. 복호 1 폭포. | 10. 복호 2 폭포. | 11. 실폭포. | 12. 시명폭포 |
▼ 내연산 산행 트랭글 산행지도.
※ 보경사 주차장→(1시간40분)→천령산→(1시간10분)→삿갓봉→(50분)→매 봉→(2시간 30분)→향로봉→(1시간 20분)→삼지봉→(50분)→문수봉→(1시간)→보경사 (약 9시간20분 예상)
▼ 보경사 입구 주차장 25시 편의점.
▼ 보경사 입구 주차장 ↔포항 버스터미널 간을 운행하는 510번 시내버스 시간표.
▼ 보경사까지 상가거리.
▼ 느티나무 보호수.
▼ 보경사 일주문 매표소 (성인 3,500원).
▼ 보경사 해탈문.
▼ 보경사 노송군락.
▼ 촬영지(KBS드라마 "대왕의 꿈"은 연산폭포에서 ... 영화 "南部軍"은 잠룡폭포에서 ...).
▼ 보경사 천왕문.
▼ 보경사 5층석탑(경북 유형문화재 제203호).
▼ 보경사 적광전옆 "소나무".
▼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는 보경사 "적광전".
▼ 보경사 감나무.
▼ 보경사 범종각.
▼ 보경사(寶鏡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불국사의 말사로 신라시대 진평왕때 지명법사가 진나라 에서 유학하면서 백마사에서 모셔온 8면보경을 동해안 큰산에 모시고 불사를 일으키면 왜구나 이웃나라들의 침입을 막고 삼국을 통일할 수 있다라는 이야기를 진평왕에게 아뢰자 진평왕은 602년(진평왕 25년)에 신하들을 대동하고 해맞이차 영일고을로 출발하여 명당을 찾고 있을때 지명법사가 하늘에 떠있는 5색구름을 따라 동해안을 거슬러 1만2천봉과 12폭포가 있는 내연산 입구 큰 연못앞에 도착하여 이곳에서 걸음을 멈추고 연못에 8면보경을 묻고 흙과 돌로 메워 그위에 불사를 일으켰는데 이절이 바로 보경사(寶鏡寺)이다.
▼ 범종각 옆 샛문으로 나오면 갈림길에서 만나는 이정표.
▼ 보경사를 지나 마을로 연결되는 인공수로.
▼ 보경사 옆 청하골 보경계곡.
▼ 청하골 보경계곡에 사방댐을 막아 마을까지 인공수로로 물을 보내는 사방댐 수문.
▼ 보경계곡 12폭포길에서 문수봉(문수암)으로 올라가는 문수봉 갈림길 협암.
▼ 문수봉 갈림길 이정목.
▼ 문수봉 갈림길 안내판.
▼ 문수봉 가는길 전망대에서 본 상생폭포.
▼ 보경사에서 문수봉을 올라 멀리 보이는 삼지봉을 지나 향로봉 매봉 삿갓봉 우척봉(천령산)으로 보경사로이어지는 내연산 6봉을 원점 종주하는데도 10시간 정도 소요 된단다.
▼ 문수암 문수봉 가는 길.
▼ 문수암 일주문 ?.
▼ 문수암.
▼ 문수암 대웅전.
▼ 문수암에서 본 매봉 ?.
▼ 문수암 팽나무.
▼ 문수암 대웅전 문수보살 ?.
▼ 일제 수탈의 상흔 !.
▼ 문수암위 문수봉 가는 길의 이정목.
▼ 문수봉 지킴이 ?.
▼ 문수봉(628m) 정상석.
▼ 문수봉(628m)에서 ...
▼ 문수봉(628m) 정상.
▼ 문수봉에서 내려오는 길과 지름길이 만나는 삼거리에는 또다른 지킴이의 무덤이 보인다.
▼ 문수봉에서 삼지봉으로 가는길의 수리더미코스 하산로.
▼ 문수봉(628m)에서 삼지봉(711m)을 지나 향로봉(932m)까지 가는길의 하산코스 참고.
▼ 첫번째 은폭포 갈림길 이정목.
▼ 두번째 은폭포 갈림길 이정목.
▼ 삼지봉 400m지점 동대산 갈림길 이정목.
▼ 삼지봉(711m) 정상에서 ...
▼ 삼지봉(711m) 정상에서 ...
▼ (구)삼지봉(711m) 정상석.
▼ 삼지봉(711m) 정상 이정목(향로봉까지의 실거리는 3.7km임).
▼ 삼지봉(711m) 정상.
▼ 향로봉(932m) 가는길의 밤나무등 하산로 갈림길(마당미기) 이정목.
▼ 백합과의 비짜루(용수채)로 요즘에는 원예용과 조경용으로 많이 쓰임. (해발 약 870m지점에서 촬영)
▼ 향로봉 전방 0.7km 지점 하옥리 갈림길 (구)이정목.
▼ 향로봉 전방 0.7km 지점 하옥리 갈림길 (신)이정목.
▼ 석죽과의 가는장구채로 여러 장구채들 중 가지가 제일 가늘다. (해발 900m 지점에서 촬영).
▼ 가는장구채. (해발 900m 지점에서 촬영).
▼ 국화과의 참취꽃. (해발 900m 지점에서 촬영).
▼ 참취꽃. (해발 900m 지점에서 촬영).
▼ 향로봉(932m) 정상에서 ...
▼ 향로봉(932m) 정상에서 ...
▼ 향로봉(932m) 정상석.
▼ 향로봉(932m) 정상에서 본 문수봉(628m).
▼ "선학초"로 더 잘 알려진 암에 좋다고 하는 장미과의 "짚신나물". (향로봉(932m) 정상에서 촬영).
▼ "짚신나물 (선학초)". (향로봉(932m) 정상에서 촬영).
▼ 잎이 무를 닮았지만 무보다는 못하다 해서 이름 지어진 장미과의 뱀무. (향로봉(932m) 정상에서 촬영).
▼ 꼭두서니과의 "솔나물"로 봉자채라 하며 부인과 피부과 질환에 유용. (향로봉(932m) 정상에서 촬영).
▼ 백합과의 원추리로 꽃은 하루동안만 피어 Day lily라 한다. (향로봉(932m) 정상에서 촬영).
▼ 원추리꽃은 하루만 피고 시들지만 계속 꽃봉오리를 맺어 20~30일 동안 핀다.
▼ 돌나물과(밤에 CO2저장)의 똑똑하고 영특한 기린아처럼 쓰임이 많다해서 기린초(꿩의비름).
▼ 향로봉에서 조금 내려오면 만나는 매봉 갈림길 이정목.
▼ 한여름에도 나물로 먹는 마타리과의 뚝갈나물로 뿌리에서 된장썩는 냄새가 나서 패장(敗醬) 해독작용.
▼ 시명리 첫번째 계곡.
▼ 시명리 이정목.
▼ 실폭포 가는 길.
▼ 시명폭포는 계곡으로 150m정도 더 내려가야해서 답사를 못해 포항시청 홈페이지에서 대신 함.
▼ 실폭포 입구 삼거리 데크길 이정목.
▼ 실폭포로 가는 계단길.
▼ 실폭포 안내판.
▼ 이 폭포가 실폭포인줄 알았는데 더 올라가야 함.
▼ 실폭포.
▼ 참회나무.
▼ 참회나무 열매.
▼ 생강나무 열매는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다시 검정색으로 익는다.
▼ 복호 2 폭포.
▼ 복호 1 폭포.
▼ 콩과식물의 애기도둑놈의 갈고리.
▼ 콩과식물의 애기도둑놈의 갈고리.
▼ 수선화과 상사화로 알뿌리는 말렸다가 호흡기질환에 탕제로 쓰며 피부질환에는 생뿌리를 찧어 붙인다.
▼ 상사화는 봄에 잎이 났다가 장마때 죽고 8월에 꽃만 피워 꽃과 잎을 동시에 볼 수 없다 (백양화는 예외).
▼ 상사화가 핀 이곳이 예전에는 사람이 사는 집터 였을 터 ...
▼ 비목나무.
▼ 음지골 쉼터 정자.
▼ 보경사 청하골 계곡에는 정선 겸재선생의 진경산수화의 소재가 되었었을 나무들과 이름없는 폭포와 소(沼) 담(潭)들이 곳곳마다 이어진다.
▼ 최근에 새로 놓여진 출렁다리.
▼ 은폭포.
▼우척봉(천령산 775m) 갈림길 이정목.
▼ 내연산 선일대.
▼ 관음굴과 관음폭포위로 연산적교(구름다리)를 건너 좌측 끝으로 연산폭포가 ...
▼ 관음폭포.
▼ 연산적교 (구름다리).
▼ 연산폭포.
▼ 연산폭포 위에 정선 겸재소나무가 있다는데 찿아보질 못해 아쉽 ...
▼ 신선대.
▼ 선일대.
▼ 관음대.
▼ 무풍폭포.
▼ 보현암 입구 이정목.
▼ 보현암 감로수.
▼ 보현폭포.
▼ 상생폭포.
▼ 문수암 갈림길 협암.
▼ 해탈문.
▼ 일주문.
▼ 봉선식당에서 숙식을 하고 아침 6:30에 나와 7:10분 510번 버스를 타고 포항으로 Go !.
▼ 보경사 주차장의 버스승차 대기장소인 편의점.
▼ 어제 산행전 생수를 구입했던 편의점에서 7:10분에 510번 첫 차를 타고 흥해를 지나 포항으로 ...
15~6년전쯤 문수봉을 지나 삼지봉에서
은폭포로 내려왔던 기억을 떠올리며
향로봉까지 돌아보고
아쉽지만 12폭포도 다 찿아보지 못한채
10시간의 내연산 여름산행을 마무리 한다.
2019. 08. 04일에 ...
토박이 이흥우.
'나홀로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수막 제작 (0) | 2020.01.23 |
---|---|
서울 강남 청광 5산(청계산,우담산,바라산,백운산,광교산)종주 산행일기(2019.10.04). (0) | 2019.10.06 |
수원 광교산 의왕 백운산 산행일기(2019.06.30) (0) | 2019.07.07 |
부평 계양산(395m) 산행일기(2019.06.29). (0) | 2019.07.01 |
부천 원미산 춘의산 산행일기(2019.06.22) (0) | 2019.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