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천주산(836m)과 봉덕산(913m)에서 만난 나무들(2018.05.20).
▼ 오미자.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붓순나무목 > 오미자과 > 오미자속 |
---|---|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 |
학명 |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
분포 |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기후 변화로 인한 온도의 상승으로 최근 문경 지역에서는 발 빠르게 사과나무를 없애고 오미자나무로 교체하여 오미자의 집산지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
▼ 고광나무.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고광나무속 |
---|---|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중국,일본) |
서식지 | 산골짜기 |
크기 | 약 2m ~ 4m |
학명 | Philadelphus schrenkii Rupr. var. schrenkii |
꽃말 | 추억, 기품, 품격 |
▼ 꼬리 진달래.
분류 |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진달래속 |
---|---|
꽃색 | 갈색, 붉은색 |
학명 |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
개화기 | 6월, 7월 |
분포 경상북도 이북지역
▼ 산앵도.
분류 |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속 |
---|---|
꽃색 | 붉은색 |
학명 |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
개화기 | 5월, 6월 |
분포 전국에 분포
▼ 노린재나무.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
---|---|
학명 |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
분포지역 | 전국 각지 |
▼ 참회나무.
분류 | 노박덩굴과(Celastraceae) |
---|---|
서식지 | 산골짜기 |
학명 | Euonymus oxyphyllus Miq. |
본초명 | 수사위모(垂絲衛矛) |
분포지역 | 한국(전역), 일본, 만주, 중국, 대만 |
▼ 박쥐나무.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층층나무목 > 박쥐나무과 > 박쥐나무속 |
---|---|
서식지 | 산지의 숲 속 |
학명 | Alangium platanifolium (Siebold & Zucc.) Harms var. trilobum (Miq.) Ohwi |
국내분포 | 전국 |
▼ 댕강나무.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꼭두서니목 > 인동과 |
---|---|
원산지 | 아시아 (북한) |
서식지 | 해발고도 250m 정도의 산기슭 양지 |
크기 | 약 2m |
학명 | Abelia mosanensis |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며 공원 조경용인 꽃댕강나무도 있다.
▼ 노각나무.
분류 | 물레나물목 > 차나무과 > 노각나무속 |
---|---|
꽃색 | 백색 |
학명 |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
개화기 | 6월, 7월 |
분포 충청북도 소백산 이남
▼ 불두화.
분류 | 인동과(Caprifoliaceae) |
---|---|
학명 | Viburnum sargentii Koehne for. sterile Hara |
분포지역 | 외래식물 |
▼ 국수나무.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국수나무속 |
---|---|
서식지 |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 안 또는 가장자리, 빛이 잘 드는 경사 지대, 길가 |
학명 |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
국내분포 | 전국 |
▼ 누리장나무.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
---|---|
학명 | Clerodendron trichotomum |
분포지역 | 황해도 이남 |
'나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시청 '대잠일월지'옆 "12억 짜리 소나무"(2019.08.03) (0) | 2019.08.08 |
---|---|
제주도에서 만난 나무들(2018.12.01) (0) | 2018.12.06 |
배나무의 종류(2016.07.21). (0) | 2016.07.21 |
참빗살나무(2014.11.08.진관사) (0) | 2014.12.02 |
헛개나무 (0) | 201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