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실산우회 제152차 대마도 시라다케(白嶽山) 산행일기(2018.10.12).
日本 나가사키縣의 쓰시마 對馬島의 면적은 708.5k㎡이며 부산에서 쾌속선 KOBEE호로 최단
1시간 10분이면 닿는 49.5km 거리에 있으며 인구는 45,000여명에서 점점 줄어 2018년 추계로
31,105명인데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며 작년 한국 관광객이 30만명에 이르러 관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고 있다.
대마도는 5개의 큰섬으로 나뉘며 상도의 히다가츠항과 하도의 이즈하라 항구 도시가 있으며
관광지로는 최초의 운하 소선월과 대선월, 러일 전쟁의 격전지였고 상대마와 하대마를 이어주는
만제키바시(万關橋), 에보시다케 전망대와 한국전망대, 해궁 와타즈미신사, 미우다하마 해변,
슈시강 단풍길, 와니우라 이팝나무 군락지, 아지로의 연흔, 가미자카공원, 다테라야마(龍良山 559m)
원시림, 쓰쓰자키 해안 전망대, 쓰시마 야생동물(야마네코 산고양이) 보호센타, 미네마치 역사민속
자료관, 가이진신사(海神神社), 등 많은 볼거리가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찿는 산행지로는 아리아케(有明山 558m)산과 시라다케(白嶽山 519m)산이
있는데 그중 시라다케(白嶽山 519m)산을 먼저 올라 본다.
산행 일시 : 2018년 10/12. 22:30~14(1무1박3일)일.
만나는 곳 : 12일 22:30 - 수원 선일초 앞, 22:40 - 화서역, 23:20 - 잠실종합운동장 2번 출구.
산행한 곳 : A코스 - 대마도 관광(만관교, 차창관광, 한국전망대, 미우라해변, 외지전망대)과
시라다케(白嶽山 519m) 산행.
B코스 - 대마도 관광(A코스 관광 + 이즈하라 하치만구신사, 덕혜옹주 봉축비 外).
함께한 이 : 개미실산우회원 40명〔A코스 - 10명, B코스 - 30명〕
◈ A(시라다케 백악산 519m)산행 코스 :
후1 : 00 - 스모 시라다케 등산로입구 주차장.
1 : 15 - 정수장 앞.
1 : 25 - 고개.
1 : 40 - 다리없는 개울, 포장도로 끝 주차장.
1 : 50 - 비포장 종점 간이주차장, 폭포, 등산 안내판(스모주차장 3.7km ← 폭포→ 정상 2.2km).
2 : 00 - 굴바위.
2 : 25 - 가미자카, 시라다케 갈림길 안내판, 돌문신사(白嶽神社, 해발290m).
2 : 50 - 기도신사(奉納).
2 : 55 - 작은 돌탑 광장.
3 : 00 - 오다케봉과 메다케봉 사이 안부.
3 : 05 - 오다케봉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U턴).
3 : 40 - 돌문신사(白嶽神社, 해발290m).
3 : 50 - 굴바위.
4 : 20 - 비포장 종점 간이주차장, 폭포, 등산 안내판.
5 : 10 - 스모 시라다케 주차장, (산행종료 총 12km 4시간 10분 소요).
▼ 시라다케(白嶽山 519m)정상 (좌측이 주봉 오다케봉 우측은 부봉 메다케봉).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산행 지도(총 5.9km 왕복 코스로 후미기준 4시간 10분 소요).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산행 지도(총 5.9km 왕복 코스로 후미기준 4시간 10분 소요).
▼ 대마도 관광 트레킹 및 시라다케(白嶽山, 519m) 산행 일정(김형승 010-7922-8822 제공).
▼ 대마도 관광 트레킹 및 시라다케(白嶽山, 519m) 산행시 주의사항(장윤은 010-3570-9762 제공).
▼ A 산행팀 10명이 산행에 앞서 멀리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을 배경으로 인증 샷 !.
▼ 대마도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인 좌측 오다케봉 까지 다녀 와야 한다.
▼ 대마도 큰 천남성의 열매가 붉은색으로 익어 가고 있는데 아마도 10월 말경이면 빨갛게 익을것이다.
▼ 대마도 시라다케 등산로 포장 도로 구간에는 삼나무와 편백나무, 가시나무 종류의 수목들로 빼곡하다.
건축 목재를 얻기위해 70여 년전 심은 삼나무는 벌목하여 운반하는 비용이 동남아에서 수입하는
비용보다 더들어 그대로 방치하여 원시림으로 바뀌었으며 삼나무는 특이한 향 때문에 벌레들이
없어(산새들도 오지 않으며) 삼나무 군락이 잘 보존 된다고 한다.
▼ 대마도 스모 시라다 주차장 출발 2km 지점에 스모지역 정수장 시설 정문을 만나게 된다.
▼ 편백나무 숲길.
▼ 가시나무 군락.
▼ 편백나무 군락.
▼ 다리가 없는 개울을 건너 주차장이 있고 포장도로가 끝난 지점에서 잠시 휴식 중 !.
▼ 비포장 임도길 시작지점.
▼ 비포장 임도길을 따라 ...
▼ 비포장 임도길이 끝나는 지점에서 소형 주차장과 시라다케 등산 안내도와 폭포를 만나게 된다.
▼ 시라다케 작은 폭포(해발50m).
▼ 시라다케 작은 폭포(해발50m)의 기도터.
▼ 시라다케 작은 폭포(해발50m).
▼ 시라다케 작은 폭포(해발50m)에서 ...
▼ 해발 50m 지점 작은 폭포에서 시작되는 시라다케(白嶽山, 519m) 등산(정상까지 2.2km) 안내판.
▼ 해발 50m지점의 폭포에서 스모 주차장까지는 3.7km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까지는
2.2km 의 거리 이다.
▼ 해발 50m지점의 폭포에서 부터는 너덜구간으로 삼나무와 동백등 여러 수종의 나무들이 섞여 있다.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 가는 길.
▼ 시라다케(白嶽山, 519m) 가는길에 만난 콩자개란.
▼ 삼나무 숲의 콩자개란.
▼ 이끼와 줄고사리들이 많은 원시림 삼나무숲 너덜길.
▼ 삼나무숲 너덜길.
▼ 폭포에서 1,2km 시라다케 정상까지 1km 남은 지점의 등산 안내판.
▼ 삼나무 군락을 지나 왕벚나무, 구실잣밤나무, 황칠나무, 가시나무 등이 혼재한 천연 원시림이 시작 된다.
▼ 굴바위 앞.
▼ 굴바위.
▼ 해발 290m 돌문신사(白嶽神社)안내판.
▼ 해발 290m 돌문신사(白嶽神社)에서 ...
▼ 해발 290m 돌문신사(白嶽神社)에서 ...
▼ 황칠나무.
▼ 황칠나무.
▼ 시라다케(白嶽山)산의 돌문신사를 지나 약25분간 올라와서 첫번째로 만나게 되는 기도신사 기도터.
▼ 기도신사 위에 누군가가 소원 성취를 한것에 대한 보답으로 시라다케(白嶽山)산신께 돌을 바쳐 모셔 놈.
▼ 기도신사에서 5분여 더오르면 작은 돌탑광장을 만나게 된다 !.
작은 돌탑광장 두개의 석등 사이로 조금 더 가면 바위테라스(마당바위)를 만나게 된다는데 다음 기회로
미루고 이번 산행에서는 그냥 시라다케(白嶽山)정상으로 직진 한다.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까지는 여기서 부터 105m를 로프를 잡고 클라이밍을 해야하는
주의구간이다.
▼ 작은 돌탑광장의 등산 안내판.
▼ 작은 돌탑광장에서 ...
▼ 돌탑광장에서 로프구간을 5분여 오르면 시라다케(白嶽山)정상 오다케봉과 우측 메다케봉의 사이 안부.
▼ 안부를 넘어서면 좌측 정상 오다케봉 밑에 두개의 기도신사와 우측 메다케봉 밑에 한개의 신사를 만난다.
▼ 힘들게 오른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에는 정상석은 없지만 눈에 담아온 대마도의 풍광은 .....
▼ 스마트폰으로 담은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에서의 View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에서 큰 호흡과 함께 호연지기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에서 양팔을 수평으로 들어보니 마음이 평온해지고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에서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에서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에서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에서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 오다케봉을 내려 서면서 만난 참식나무 열매.
▼ 참식나무의 열매는 지름이 약 1~1.2cm 정도이며 꽃자루의 길이도 1~1.2cm정도 된다.
▼ 참식나무(녹나무과)의 잎과 열매.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정상 오다케봉을 내려 서면서 만난 일엽초.
▼ 시라다케(白嶽山 519m) 오다케봉 하단부.
▼ 시라다케(白嶽山 519m) 메다케봉 하단부.
▼ 시라다케(白嶽山 519m) 메다케봉과 오다케봉 사이 안부를 다시 넘어 서면서 ...
▼ 갑자기 빗방울이 떨어지는 가운데 내려오는 중 해발 290m 돌문신사(白嶽神社)를 지나고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하산길에서 만난 3.3㎡ 정도의 숫가마터 ?.
▼ 70여년 수령의 삼나무.
▼ 수많은 세월을 얽혀 살아온 대마도 시라다케의 나무들이 서로를 배려하며 자라고 있는 자연의 현장.
▼ 오늘같이 비가 내릴때 많은 사람들이 비바람을 피해 잠시만 이라도 머물렀었을 굴바위.
▼ 다행히 빗방울이 멈춘뒤 시라다케(白嶽山 519m) 폭포의 상단부 도착 !.
▼ 시라다케(白嶽山 519m) 폭포의 중간부.
▼ 시라다케(白嶽山 519m) 폭포의 하단부.
▼ 시라다케(白嶽山 519m)에서 만난 예덕나무.
▼ 예덕나무.
▼ 산행을 시작한지 4시간 10분만에 돌아온 스모 시라다케 주차장에서 바라본 시라다케(白嶽山 519m).
개미실산우회 제152차 대마도 관광 트레킹 일기(2018.10월 13~14일).
▼ 2018년 10월 12일 저녁 11:20분 서울 잠실 종합운동장을 출발하여 13일 새벽 5:10분경 도착한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 앞 "본가 콩나물 해장국 (051-753-2328)식당"에서 아침식사를 하고 ...
▼ 2018년 10월 13일 광안리에서 아침식사를 하고 오전 06:30분에 부산항 국제 여객터미널에 도착 !.
▼ 부산항 국제 여객터미널 3층 출국 게이트 앞에서 휴식 중 !.
▼ 부산항 국제 여객터미널 3층 KOBEE 창구 앞에서 출국서류 준비중인 경기등산클럽 김형승 꽃미남 대장.
▼ 부산항 국제 여객터미널 3층 KOBEE 창구에서는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티켓 발매 중 !.
▼ 부산항 국제 여객터미널 3층에서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개찰 대기 중 !.
▼ 부산항 국제 여객터미널 3층에서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개찰 대기 중 !.
▼ 부산항 국제 여객터미널 3층에서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개찰 대기 중 !.
▼ 부산항 국제 여객터미널에서 2018년 10/13일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KOBEE호 출발 !.
▼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KOBEE 호에서 ...
▼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KOBEE 호에서 ...
▼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KOBEE 호에서 ...
▼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KOBEE 호에서 ...
▼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KOBEE 호에서 ...
▼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KOBEE 호에서 ...
▼ 부산 08:40분 발 쓰시마(대마도)행 KOBEE 호 대마도 히타카츠 항 도착 !.
▼ 히타카츠항에 대기중인 버스에 탑승 !.
▼ 히타카츠항 여객터미널.
▼ 히타카츠항에서 대기중인 버스에 탑승하여 만관교로 이동하여 일본에서의 첫 끼니를 벤또로 해결 ! .
▼ 대마도 트레킹 첫날 대마도의 상도와 하도를 잇는 만제키바시(万關橋) 공원에서 도시락으로 식사 중 !.
▼ 대마도 트레킹 첫날 만제키바시(万關橋) 공원에서 도시락으로 식사 중 !.
▼ 대마도 트레킹 첫날 만제키바시(万關橋) 공원에서 도시락으로 식사 중 !.
▼ 대마도 트레킹 첫날 만제키바시(万關橋) 공원에서 도시락으로 식사 중 !.
▼ 대마도 트레킹 첫날 만제키바시(万關橋) 공원에서 도시락으로 식사 중 !.
▼ 대마도 만제키바시(万關橋) 공원 참느릅나무.
▼ 대마도의 만제키세토 운하가 있는 상도와 하도를 잇는 붉은색의 만제키바시(万關橋).
▼ 대마도의 상도와 하도를 잇는 붉은색의 만관교(万關橋).
▼ 대마도의 만관교(万關橋)에서 ...
▼ 대마도의 만관교(万關橋)에서 본 만제키세토 운하는 러일 전쟁시 발틱함대 패전지 ...
▼ 대마도의 만관교(万關橋)에서 ...
▼ 대마도의 상징인 붉은색의 만관교(万關橋)에서 ...
▼ 대마도의 만관교(万關橋)에서 ...
▼ 대마도의 만관교(万關橋)에서 본 만제키세토 운하는 러일 전쟁시 발틱함대의 패전지 ...
▼ 대마도의 만관교(万關橋)에서 ...
▼ 대마도의 만관교(万關橋)에서 ...
▼ 대마도 만관교(万關橋)에서 만난 예덕나무.
▣ 개미실산우회 제152차 대마도 시라다케(白嶽山 519m) 산행일기(2018.10.12)가 있어야 할 자리.
▣ 대마도 트레킹 2일차
▼ 대마도 일출(2018년 10월 14일 06:23분)
▼ 대마도 일출(2018년 10월 14일 06:26분)
▼ 대마도 일출(2018년 10월 14일 06:27분)
▼ 대마도 일출(2018년 10월 14일 06:28분)
▼ 대마도 일출(2018년 10월 14일 06:30분)
▼ 대마도 일출(2018년 10월 14일 06:35분)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에서 만난 유카.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에서 만난 팔손이.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 테라스에서 ...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 테라스에서 ...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에서 만난 수국.
▼ 수국(흙이 산성일때 수국의 안토시아닌 성분과 흙속의 알미늄 성분이 결합하여 파란색 꽃을 피운다).
▼ 수국(흙이 알카리성일때 안토시아닌 성분과 흙속의 알미늄 성분이 결합하지 못해 빨간 꽃을 피운다).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에서 아침식사 전 ...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 주차장에서 ...
▼ 우묵 사스레피나무.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에서 아침식사 중 !.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에서 식사후 ...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에서 출발전 인증 샷 !.
▼ 대마도 카미소(花海莊) 호텔 입구.
▼ 우묵 사스레피나무.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 입구.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 옆 캠프촌.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 옆 캠프촌으로 올라가는 길.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에서 ...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에서 ...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에서 ...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에서 ...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에서 ...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에서 ...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의 금빛 백사장.
▼ 미우다하마 해수욕장의 조형물.
▼ 한국전망대 주차장 도착 !.
▼ 한국전망대.
▼ 한국전망대에서 ...
▼ 한국전망대에서 ...
▼ 한국전망대에서 ...
▼ 한국전망대에서 ...
▼ 한국전망대에서 ...
▼ 한국전망대에서 49.5km의 부산이 조망 된다.
▼ 한국전망대 앞 朝鮮國 譯官使 殉亂之碑(조선국 역관사 순난지비).
1703년 3월 2일 3대 대마도주의 조문겸 5대 대마도주의 승계 축하 사절단 108명이 3대의 선박에 타고
대마도로 건너 오다가 대마도 앞에서 대마도 선원 4명을 포함한 108명의 조선 역관사들이 순직한 것을
애도하기 위해 1991년 3월 20일 조선국 역관사 순난지비를 세우고 300주년을 맞아 2003년 3월 7일
역관사 108명과 4명의 대마도 선원들의 이름을 새긴 표지판석을 세웠다(모든 석재들은 우리나라 재료).
▼ 한국전망대도 일본이 우리나라의 자문을 받아 탑골공원의 팔각정을 모델로 하고 우리나라 재료로 세웠다.
▼ 하늘 높이 올라 무언가를 찿고 있는 황조롱이.
▼ 또 다른 곳 부산이 보이는 이국 전망대에서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이국전망대에서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이국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부산을 조망 중 !.
▼ 가래나무.
▼ 면세점 앞 주차장.
▼ 면세점 앞 부둣가.
▼ 히타카츠 면세점 뒷쪽 산에도 신사 ?.
▼ 히타카츠 면세점.
▼ 겹부용화.
▼ 겹부용화.
▼ 비파나무.
▼ 비파나무 .
▼ 대마도 코스모스.
▼ 멀꿀나무.
▼ 멀꿀나무 열매.
▼ 천학식당에서 점심식사 중 !.
▼ 천학식당에서 ...
▼ 히타카즈 국제여객 터미널 2층에서 대기 중 !.
▼ 히타카즈 국제여객 터미널에서 13:00 발 KOBEE호에 승선하여 눈 깜빡할 새 14:10분에 부산 도착 !.
▼ 부산 광안대교.
1무1박 3일의 대마도
트레킹 및 시라타케 산행에
함께 해 주신
개미실 산우님들 !.
수고 많으셨습니다 !.
토박이 이흥우 드림.
'개미실 산우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미실산우회 제155차 시흥 소래포구 습지생태공원 트레킹일기(2018.12.09) (0) | 2018.12.10 |
---|---|
개미실산우회 제154차 오산 독성산(208m)세마대, 양산봉(180m) 산행일기(2019.11.11) (0) | 2018.11.12 |
제151차 서울 안산(母岳山 296m) 자락길 산행일기(2018.09.09). (0) | 2018.09.12 |
대마도 시라다케(백악산, 519m) 정보 (0) | 2018.07.14 |
제150차 완주시 한오봉(570m) 편백나무숲 산행일기(2018.07.08). (0) | 2018.07.12 |